loading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일본뇌염 모기 등 궁금증 Q & A

일본뇌염 모기 일본뇌염 모기는 '작은빨간집모기'이다. 우리나라를 비롯해 아시아 전역에 서식한다. 4.5mm 정도의 작은 모기로 전체적으로 암갈색을 띄고 있다. 위 사진의 모기가 일본뇌염을 매개하는 '작은빨간집모기'이다. 물론 흡혈을 하는 암컷이다. 대표적인 서식지는 논, 연못, 관개수로, 미나리밭 등의 물웅덩이다. 우리나라 남부를 중심으로 7월 초부터 발생밀도가 증가하기 시작해 8, 9월까지 창궐하다가 찬 바람이 일면 서서히 감소한다. 일본뇌염 Q & A 일본뇌염 모기를 사진으로 확인해도 일반인이 구분하기란 쉽지 않다. 게다가 모기에 물리는 것을 100% 차단할 수도 없다. 증상이나, 백신 예방접종에 관련해 궁금한 점이 있다면 아래 페이지에서 확인하실 수 있다. 일본뇌염 주의보 발령 그럼 본격적으로 대표..

카테고리 없음 2024. 3. 30. 17:00
일본뇌염 증상 확인

일본뇌염 증상은 대부분 발열 및 두통 등 가벼운 증상으로 끝나지만 드물게 뇌염으로 진행되기도 한다. 여기서는 일본뇌염 증상을 알아보고 예방접종에 대해서도 간략하게 알아본다. 일본뇌염 증상 일본뇌염 증상으로 고열, 발작, 착란, 경련, 마비 등이 나타나는데 이렇게 심한 증상을 보이는 환자 가운데 20~30%가 사망에 이를 수 있어 위험한 전염병이다. 특히 뇌염의 경우 회복이 되더라도 30~50%는 손상 부위에 따라 다양한 신경계 합병증을 앓는다. 국내 일본뇌염 증상 환자는 매년 20명 내외로 발생하는데, 대부분 8~9월에 첫 환자가 신고된다. 최근 5년간의 통계를 보면 일본뇌염 증상으로 신고된 환자는 남성이 55.4%로 여성보다 많고, 연령층으로는 50대 이상이 전체 환자의 87%를 차지했다. 일본뇌염 증..

카테고리 없음 2024. 3. 30. 15:55
일본뇌염 예방접종 시기 백신 종류 및 가격

일본뇌염 예방접종에는 이미 효과적인 백신이 나와있다. 일본뇌염 예방접종 시기와 종류, 가격에 대해 간략하게 알아보자. 예방접종 외, 증상, 일본뇌염모기 등에 관련해서는 아래 버튼으로 이동해서 확인하시면 된다. 일본뇌염 주의보 발령 일본뇌염 예방접종 백신 종류 및 예방접종 시기 일본뇌염 예방접종에는 효과적인 백신이 이미 많이 나와있으므로 국가필수예방접종 대상 아동(2011년 이후 출생자)의 경우 표준 일본뇌염 예방접종일에 맞춰 접종할 것을 질병관리청에서는 권고하고 있다. 백신 종류 접종 횟수 접종 일정 불활성화 백신(사백신) 총 5회 ∙ 1차‧2차: 생후 12∼23개월 1개월 간격으로 2회 접종 ∙ 3차: 2차 접종 11개월 후 접종 ∙ 4차‧5차: 6세, 12세에 추가접종 활성화 백신(생백신) 총 2회 ..

카테고리 없음 2024. 3. 30. 14:50
디지털 관광주민증 발급 및 사용 방법, 지역과 혜택

디지털 관광주민증은 일종의 명예 주민증이다. 소멸 위기의 지역을 대상으로 발급한다. 디지털 관광주민증 발급 및 사용 방법 1. 디지털 관광주민증 발급 「대한민국 구석구석 누리집에 접속」 대한민국 구석구석 누리집 상단 메뉴에서 [여행정보] → [디지털 관광주민증 신청하기]로 클릭, 이동. → 디지털 관광주민증을 발급받을 지자체 선택 *주소지를 두고 있는 지역은 발급이 불가. **발급 지자체는 중복 선택 가능 2. 디지털 관광주민증 사용 방법 할인 혜택을 받을 방문지에서 직원에게 디지털 관광주민증 보여주면 끝! 디지털 관광주민증 사용 방법 디지털 관광주민증 사용 지역과 혜택 1. 디지털 관광주민증 사용 가능 지역 강원 지역: 평창, 정선 부산: 영도구 인천: 강화 충북: 단양, 옥천, 제천 충남: 태안 전북..

카테고리 없음 2024. 3. 29. 14:12
이전 1 ··· 6 7 8 9 10 11 12 ··· 15 다음
이전 다음

티스토리툴바

이메일: dkrehfdl@hanmail.net | 운영자 : 악돌이
제작 : 아로스
Copyrights © 2022 All Rights Reserved by (주)아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