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b3BPDG/btsGfLHoXDG/uZ7zf8UqeXHy6JMITj0880/img.jpg)
봄이 왔다 싶어 갔는데 우리가 봄보다 좀 빨리 도착한 듯. 봄비가 잦았던 탓에 계곡물은 철철 풍성하게 흘렀고, 무풍한송로의 푸르름이야 사시장철 같았으니, 봄꽃이 조금 덜함에 무슨 아쉬움이 있었겠는가.조금 늦어도 봄은 오고 있었다. 진달래가 누렇게 꼬부라진 건초들 사이로 봉긋 상큼한 얼굴을 내밀고 있었다. 일요일, 사람들이 무척이나 붐볐다. 성보박물관에는 마침 김재춘 작가님의 민화전이 열리고 있었다. 4월 7일까지 한다고 하니 관심이 있으신 분들은 그전에 한 번 들러보는 것도 좋으리라.세월과 함께 낡아가는 목조건물의 처연함이 푸릇푸릇 돋아나는 유록빛깔들과 퍽이나 대조적이었다. 그래, 그렇게 흘러가는 것이지. 사람이 무척이나 붐볐는데, 없는 사진을 찍느라 꽤나 고생했다.사찰 경내를 돌아나오는 길에 일주문 앞..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nPKNJ/btsGd9JgRkn/FjEVHXM9CY5CHaXBJj0WZk/img.png)
일본뇌염 모기 일본뇌염 모기는 '작은빨간집모기'이다. 우리나라를 비롯해 아시아 전역에 서식한다. 4.5mm 정도의 작은 모기로 전체적으로 암갈색을 띄고 있다. 위 사진의 모기가 일본뇌염을 매개하는 '작은빨간집모기'이다. 물론 흡혈을 하는 암컷이다. 대표적인 서식지는 논, 연못, 관개수로, 미나리밭 등의 물웅덩이다. 우리나라 남부를 중심으로 7월 초부터 발생밀도가 증가하기 시작해 8, 9월까지 창궐하다가 찬 바람이 일면 서서히 감소한다. 일본뇌염 Q & A 일본뇌염 모기를 사진으로 확인해도 일반인이 구분하기란 쉽지 않다. 게다가 모기에 물리는 것을 100% 차단할 수도 없다. 증상이나, 백신 예방접종에 관련해 궁금한 점이 있다면 아래 페이지에서 확인하실 수 있다. 일본뇌염 주의보 발령 그럼 본격적으로 대표..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N6Iw5/btsGcIMuXpj/aBbbY9mcsoQ3AvFHwfQmm1/img.png)
일본뇌염 증상은 대부분 발열 및 두통 등 가벼운 증상으로 끝나지만 드물게 뇌염으로 진행되기도 한다. 여기서는 일본뇌염 증상을 알아보고 예방접종에 대해서도 간략하게 알아본다. 일본뇌염 증상 일본뇌염 증상으로 고열, 발작, 착란, 경련, 마비 등이 나타나는데 이렇게 심한 증상을 보이는 환자 가운데 20~30%가 사망에 이를 수 있어 위험한 전염병이다. 특히 뇌염의 경우 회복이 되더라도 30~50%는 손상 부위에 따라 다양한 신경계 합병증을 앓는다. 국내 일본뇌염 증상 환자는 매년 20명 내외로 발생하는데, 대부분 8~9월에 첫 환자가 신고된다. 최근 5년간의 통계를 보면 일본뇌염 증상으로 신고된 환자는 남성이 55.4%로 여성보다 많고, 연령층으로는 50대 이상이 전체 환자의 87%를 차지했다. 일본뇌염 증..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cFpov2/btsGcJ5Ho1n/qrXutkL6N8UF6bq3MoXOg1/img.png)
일본뇌염 예방접종에는 이미 효과적인 백신이 나와있다. 일본뇌염 예방접종 시기와 종류, 가격에 대해 간략하게 알아보자. 예방접종 외, 증상, 일본뇌염모기 등에 관련해서는 아래 버튼으로 이동해서 확인하시면 된다. 일본뇌염 주의보 발령 일본뇌염 예방접종 백신 종류 및 예방접종 시기 일본뇌염 예방접종에는 효과적인 백신이 이미 많이 나와있으므로 국가필수예방접종 대상 아동(2011년 이후 출생자)의 경우 표준 일본뇌염 예방접종일에 맞춰 접종할 것을 질병관리청에서는 권고하고 있다. 백신 종류 접종 횟수 접종 일정 불활성화 백신(사백신) 총 5회 ∙ 1차‧2차: 생후 12∼23개월 1개월 간격으로 2회 접종 ∙ 3차: 2차 접종 11개월 후 접종 ∙ 4차‧5차: 6세, 12세에 추가접종 활성화 백신(생백신) 총 2회 ..